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테슬라사랑28

테슬라 모델 3의 솔직 후기 2년간 5만 km 운행한 나의 테슬라 모델 3의 솔직 후기를 올린다. 우리에게 생소한 전기차를 처음 구매한 나는 배터리에 불이 나면 어쩌나, 배터리가 빨리 방전되어서 새로 교체해야 하는 일이 발생하면 금액이 차 값의 반이라는데 어쩌나 하는 걱정을 했다. 거기다가 오토파일럿이라는 주행 장치가 거의 자율주행에 가까워 나도 모르는 사이에 대형사고를 쳐 버리면 어쩌나 하는 불안감이 없지 않았다. 세상에 처음 선보이는 전기차에 대한 환상과 그 환상이 일치하지 않을 걱정과 불안감에 많이 망설였다. 그러나 그 모든 걱정들이 구입 한 지 며칠 안되어 싹 사라져 버렸다. 처음 가속력이 상당히 부드럽게 미끄러지듯이 속도를 올리는 것은 그 어떤 엔진차와도 비교할 수 없는 묘한 기분이 든다. 엔진 차의 RPM을 올리는 스타트.. 2023. 4. 21.
테슬라 2023 1분기 실적 요약 2023년 1분기 Tesla의 수익과 이익은 Refinitiv의 분석가들의 조사 결과와 매우 유사했습니다. ---Tesla는 새로운 공장을 활용하지 못해 생산비용이 높아졌고, ---원자재, 상품, 물류 및 보증 비용 증가. ---환경 크레딧 수익도 줄어들어 ---환경규제에 의해 수익이 작년 대비로 줄었다는 것입니다. 테슬라 주가는 3월 19일 발표일에 2.02% 하락했고, 주식시장 마감 후 발표 함으로 after market에서 8% 이상 급락을 보이고 있습니다. 1. 1분기 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당 이익 : 85센트 = vs Refinitiv가 집계한 예상치 85센트 매출 : 232.1억 달러 2023. 4. 20.
테슬라와 현대차의 실적비교 테슬라와 현대차의 실적비교와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알아보자. 1. 외형 비교 대한민국 기업인 현대기아차가 2022년 약 10조 원에 이르는 사상 최대의 영업이익을 달성했다고 칭찬이 자자하다. 1967년에 고 정주영 회장이 옛 현대엔지니어링을 기반으로 설립한 현대자동차는 이제 56년의 성인의 나이가 되어 세계에서도 내로라하는 대기업이 되었다. 삼성전자, SK에 이어 국내 3위의 대기업일 뿐 아니라, 세계 4대 자동차 메이커로 성장했다. 미국의 GM도 포드도 현대보다 뒷 순위이다. 참으로 대단하지 않은가. 세계 곳곳에 현대기아 자동차가 돌아다니고, 자동차의 지존 미국에서도 믿을 수 있는 국민차로 당당히 대우받고 있다. 그런데 여기 태어난 지 20년 되었고 2010년에 주식에 상장했으나,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 2023. 3. 25.
테슬라 2,000만대 생산 테슬라 전기자동차가 2,000만 대를 어떻게 생산할 것인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자동차를 생산해 내는 기업이 도요타로 연 1,000만 대를 오르내리고, 다음으로 600만 대 선인 폭스바겐으로 이 두 거대 기업을 합친 것보다 많은 생산량을 목표로 하고 있다. 1. 배터리가 충분히 공급되나? 배터리가 자동차 생산 수량만큼 공급되어야 완성차가 나온다. 배터리 원료인 니켈과 리튬 코발트 등의 가격이 아직은 비싸고 충분치 않다. 배터리 가격이 전기자동차 가격의 40%를 차지하는 이유는 비싼 가격 때문이다. 그래서 전기차가 일반 내연 자동차보다 비싸다. 니켈 광산이 많지 않아 희귀성 때문인데, 최근에 잇따라 새로운 니켈 광산이 발견되고 있다. 테슬라도 직접 채굴 광산을 개발해서 배터리 직접 제조에 나서고 있다... 2023. 3. 21.
테슬라 2024 100% 성장 1. 기가베를린확장 100만 대 기가베를린에서 50만 대에 못 미친 올해의 능력을 100만 대 생산까지 확장하겠다고 발표했다. 독일 베를린의 환경단체의 거센 저항으로 기가베를린팩토리가 완성되기까지 많은 진통과 시간이 걸렸다. 생산을 시작한 지 1년이 안되었지만 이제 2차 확장을 위해 신청에 들어갔다고 한다. 이번에 테슬라의 5번째 공장으로 선정된 누에보레온 멕시코 공장 역시 물문제로 인한 환경단체와 지방자치단체의 우려가 많았다. 공장가동에는 많은 물이 필요한데, 물문제가 심각한 지역이라 거기에 거대한 공장을 세우기가 쉽지 않을 예상에도 불구하고 테슬라는 물문제에 대해 걱정할 것이 없다고 했다. 베를린 공장은 그보다 더 심한 염려와 압박에도 굴하지 않는다. 현재의 물 사용량으로도 얼마든지 3배 더 큰 규모.. 2023. 3. 18.
투자 종목 어디가 좋을까 최근 실리콘밸리은행과 크레딧스위스, 퍼스트리퍼블릭뱅크, 등의 파산 위험으로 미국 경제가 또다시 금융위기로 빠져드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있다. 1. 위기에서 기회를 그러나 미국의 대형은행들이 나서서 공동 구제하기로 하는가 하면, 미정부가 예금자 보호에 적극 대응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위기보다는 기회로 보는 시각이 더 많아졌다. 이러한 불투명한 경제상황에도 불구하고 한국예탁결제원은 미국주식시장에서 새해 들어 가장 많이 매수한 종목이 테슬라라고 발표했다. 200달러 밑으로 내려오면서 많은 서학개미들이 테슬라를 사들였다. 테슬라를 기회로 보고 있는 개미들의 기대는 다음과 같다. 1. 가격인하로 판매가 증가하고 2. 생산라인의 업그레이드로 더 많은 차량이 생산되고 3. 원가절감 등으로 조립비용이 하락하고 반값 테.. 2023. 3. 18.
반응형